9th International Biology Olympiad 1998
July 19 - July 26 1998 in Kiel / Germany
|
Practical Test. Laboratory 2 : Physiologically-oriented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성 |
|
이름 |
|
국가 |
|
코드 번호 |
실험 시험에서 여러분은 생물학의 기본적인 방법, 과정, 기술을 알고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야 한다. 4가지 실험으로 구성된 4가지 복합문제에서 이를 보여야 한다.
1. 실험 : 분류-형태 실험
2. 실험 : 생리 실험
3. 실험 : 유전-미생물 실험
4. 실험 : 행동 실험
각각의 실험에 70분씩 배당되어 있다. 70분이 지난 다음에는 다음 실험으로 넘어가야 한다. 각각의 실험의 보조자가 과제와 힌트를 배부해 줄 것이다. 각 실험에서 최대 35-40점을 획득 할 수 있다.
시험을 잘 치르세요.
소개문:
실험 1에서 다음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해야 합니다.
과제 1 : 호흡 과정에 관계되는 모델 실험
과제 2 : 호밀(귀리) 이삭의 침윤 운동의 분석
먼저 2개 과제의 지시문을 읽고, 푸는 순서를 결정하라.
앞장에 있는 자기의 개인 자료(성, 이름, 국가, 코드번호)를 빈칸에 적어 넣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.
과제 1 : 호흡과정에 관계되는 모델 실험
소개문 :
예를 들어 호흡 과정의 세포내 산화에서와 같이 여러 산화 환원계를 통해 최종 전자 수용에로의 전자전달이 BAUMANN 실험을 따라, 시험관 내에서의 모의실험에서 모사될 수 있다.
아미노산인 시스테인을 포함하고 있는 아세트산 나트륨 용액에 Fe2+를 첨가하고 잠시 흔들어 준다. 즉시 색깔을 적어 두고 몇 분 후에 다시 색깔을 기록한다. 혼합물을 다시 흔들어 섞고 즉시 색깔과 몇 분 후의 색깔을 적는다. 이러한 과정을 몇 차례 반복한다.
정보 : 시스테인은 Fe3+와 유색화합물을 형성하지만, Fe2+와는 형성하지 않는다.
Ⅰ: 실험 준비
다음 용액이 실험에 필요하다. :
41mM의 아미노산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0.1M 수용성 아세트산 나트륨 용액 10ml(=용액 a). 이 용액은 82mM 시스테인 용액(용액 c)과 0.2M 아세트산 나트륨 용액(용액 b)을 섞어서 만든다.

2(1.1) 0.2M 아세트산 나트륨 용액 100ml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수 아세트산 나트륨을 몇 mg 달아야 하는가? (아래에 주어진 값들을 이용하여 계산하시오.) [3점]
원자량 : H : 1, O : 16, C : 12, Na : 23.
결과(소수점 이하 없음) :
2(1.2) 82mM 시스테인 용액 100ml를 만들려면 몇 g의 시스테인을 달아야 하는가? (아래에 주어진 원자량을 사용하여 계산하시오.) [3점]
H : 1, O : 16, C : 12, S : 32, N : 14.
반올림한 결과(소수점 아래 없음)
|
용액 b(6ml), 용액 c(6ml)와 필요한 FeSO4를 조교로부터 얻은 후 실험을 시작하시오. |
Ⅱ: 과정
2(1.3) 필요한 용액 a 10ml를 얻기 위해 정확한 비율로 용액 b와 용액 c를 취하여 혼합하시오. [2점]
반드시 파이펫 보조기를 사용해야 한다.
|
판정(점수 채점)을 위해 실험한 용액과 남아있는 용액을 실험실 감독관에게 즉시 제출하시오. 파이펫 보조기를 실험실 감독관에게 반납하시오. 만일 여러분이 실험을 잘못하였다면 용액 b와 용액 c를 다시 얻을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되면 여러분은 (3)번의 점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. |
2(1.4) 용액 a에 황산철(FeSO4)을 넣고 시험관을 마개로 막은 후 강하게 흔든 후에 나타나는 용액의 색깔에 X 표를 하시오. [1점]
|
○ |
빨강 |
|
○ |
흰색 |
|
○ |
초록 |
|
○ |
파랑-보라 |
2(1.5) 마개를 하지 않은 채로 시험관을 1-2분 동안 두었을 때 나타나는 용액의 색깔에 X표를 하시오. [1점]
|
○ |
빨강 |
|
○ |
흰색 |
|
○ |
초록 |
|
○ |
파랑-보라 |
2(1.6) 흔들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것은 몇 번 정도인가? [1점]
|
○ |
1번 |
|
○ |
5번 정도 |
|
○ |
6번 이상 |
|
○ |
반복되지 않음 |
Ⅲ: 실험의 평가
2(1.7) 실험에 사용된 것(들)에 X 표를 하시오. [1점}
|
○ |
철과 산소 |
|
○ |
시스테인과 산소 |
|
○ |
아세트산 나트륨 |
|
○ |
산소 |
|
○ |
시스테인 |
|
○ |
없음 |
2(1.8) Fe3+/Fe2+ 계의 산화 환원 전위 E0는 +0.77V이다. 이 계에서 e-전자 공여체의 산화 환원 전위 값은? [1점]
|
○ |
+0.77V보다 크다. |
|
○ |
+0.77V보다 작다. |
|
○ |
+0.77V이다. |
2(1.9) 수행한 실험에서 e- 최종 수용체의 산화 환원 전위 E0의 값은? [1점]
|
○ |
+0.77V보다 크다. |
|
○ |
+0.77V보다 작다. |
|
○ |
+0.77V이다. |
2(1.10) 바우만 실험에서 Fe-계에 해당하는 호흡계 반응의 효소는? [1점]
|
○ |
NADH 유비퀴논 환원효소 |
|
○ |
시토크롬 산화효소 |
|
○ |
ATP 합성 효소 |
|
○ |
유비퀴논 시토크롬 e 환원효소 |
2(1.11) 바우만 실험에서 전자전달자의 경로를 완성하시오. 문제당 정답이면 1 또는 2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[8점]

과제 2 : 호밀(귀리; Avena sterilis) 이삭의 침윤 운동(imbibition movement) [17점]
소개문 :
각 침윤 운동의 토대는 세포벽 성분이 물에 불어나는 능력이다. 만일 침윤이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일어난다면 동향성(isotropic)이라 한다. 만일 한 방향으로 부푼다면 그 침윤은 일방성(anisotropic)이라 한다. 균질한 물질이라도 세포벽의 구조와 조성의 차이로 인해 굴곡이 생길 수 있다. 조성은 세포벽 층들에서 미세섬유의 배열이다. 제시한 실험에서 관찰된 운동은 조성의 차이로 야기된다. 여러분에게 제공된 표본에는 2개의 뚜렷한 까락(수염; awn)이 있다. 여러분은 그들의 운동을 조사해야 한다. (직사광이 투과되는) 돋보기를 사용할 수 있다.
Ⅰ: 과정
2(2.1) 물을 뿌린 다음 까락의 운동을 관찰한다. 한 장의 종이 위에 까락이 달린 마른 잔 이삭(낱알 하나에 해당)을 놓고, (스프레이를 써서) 잔 이삭에 물을 뿌린 후 (돋보기로) 까락이 달린 잔 이삭을 관찰한다. 여러분이 관찰할 수 있는 반응에 X 표를 하시오. [2점]
|
○ |
반응 없음. |
|
○ |
양쪽 까락 모두 꼬임이 풀리는 공동회전운동(synergic rotation)을 보인다. |
|
○ |
까락들은 서로 닿지 않는다. |
|
○
|
두 까락이 모두 나선형으로 꼬이는 공동회전운동을 보인다. 종종 까락들은 서로 걸리고 가끔은 ‘도약운동(saltatory movement)’을 시작한다. |
|
○
|
두 까락이 모두 꼬임이 풀리는 공동회전을 나타낸다. 가끔 까락들은 서로 걸리고, 때로는 ‘도약운동’을 시작한다. |
|
○
|
한 까락의 운동은 꼬임이 풀리는 쪽으로 다른 하나는 나선형으로 꼬이는 운동을 한다. |
2(2.2) 이삭이 마를 때의 까락 운동의 관찰
실험 후 까락들을 건조시킨다. (두 램프의 전원을 최대로 올려서 가열한다.) 10-15분 후에 반응을 볼 수 있다. 대상(까락)을 관찰한다. 다음 중 바른 설명에 X 표를 하시오. [2점]
|
○
|
두 까락이 나선형으로 꼬이는 공동회전을 한다. 때로는 서로 걸리고, 때로는 ‘도약운동’을 시작한다. |
|
○
|
두 까락이 모두 꼬임이 풀리는 공동회전 운동을 나타낸다. 까닥들이 서로 닿지 않는다. |
|
○
|
두 까락이 모두 나선형으로 꼬이는 공동회전운동을 한다. 까락들은 서로 걸리지 않는다. |
|
○
|
두 까락이 모두 꼬임이 풀리는 공동회전 운동을 한다. 때때로 서로 걸리며 때때로는 도약운동을 시작한다. |
|
○ |
한 까락은 꼬임이 풀리고, 다른 하나는 나선형으로 꼬이는 운동을 한다. |
Ⅱ: 평가
2(2.3) 셀룰로오즈의 조성과 침윤 [3점]
여러분의 의자에 2장의 타이프 종이가 있다. 제작 공정에 의하면 셀룰로오즈 섬유는 기본적으로 세로로 길게 배열하고 있다.
2(2.3a) 종이의 양면에 물을 충분히 분사시키고 약 5분 후에 종이가 섬유의 세로 방향으로 늘어났는가(A), 또는 섬유와 직각 방향으로 늘어났는가(B), 아니면 세로와 가로 양쪽 방향으로 똑같이 늘어났는가(C)? 옳은 것에 X 표를 하시오. [1점]
|
○ |
A |
|
○ |
B |
|
○ |
C |
2(2.3b) 최대 신장률은 몇 %인가? [2점]
%
2(2.4) 사고 실험 수행 [8점]
그림 1에서 한 장의 종이의 섬유 방향은 실선으로 세로로 표시하였다. 종이 조각들은 a, b, c로 표지했다. 생각하라. (상상): 그림 1에 나타낸 조각들을 잘라내, 물로 적셔 표 1의 첫 칸에 보여진 바와 같이 동일하게 풀로 붙인다. 위쪽 끝(*)을 걸어 건조시킨다.
측면에서 보았을 때 예상되는 형태 변화를 표 1의 두 번째 칸에 그리시오.
그림 1
|
|
칸 1 |
칸 2 |
|
A |
a+a ∥ |
* |
|
B |
b+b ∥ |
* |
|
C |
b+a ∥ |
* |
|
D |
a+b ∥ |
* |
|
E |
a+c ∥ |
* |
2(2.5) 까락 운동의 관찰 결과와 (2.4)번 예비 실험(사고실험)의 결과를 관련시켜볼 때, 까락 운동이 일어나는 데 토대가 되는 조성에 X 표를 하시오. [2점]
|
○ |
(aa) |
|
○ |
(bb) |
|
○ |
(ba) |
|
○ |
(ab) |
|
○ |
(ac) |